티스토리 뷰
2025년 서울 축제 가이드: 사계절 내내 즐기는 문화예술의 향연
서울이 2025년을 맞아 풍성한 축제 일정을 공개했습니다. 봄부터 겨울까지, 서울의 각 계절은 특별한 문화예술 축제로 가득 채워질 예정입니다. 이번 블로그에서는 2025년 서울에서 열리는 다양한 축제들을 계절별로 소개해 드립니다.
봄: 꽃처럼 피어나는 문화의 계절
서울스프링페스타 (4.30.~5.6.)
서울을 대표하는 문화·관광 축제로, 전 세계가 주목하는 'K-컬처'의 다양한 매력을 선보입니다. 월드컵경기장, 서울광장 등 서울 전역에서 3-빅쇼와 3-테마공간을 중심으로 도시 전체를 음악과 빛으로 물들입니다.
서울서커스페스티벌 (5.3.~5.5.)
어린이날 주간에 맞춰 노들섬에서 펼쳐지는 가족 친화적 축제입니다. 국내외 서커스 공연과 함께 서커스 관련 전시, 영화, 화려한 퍼레이드가 준비되어 있어 온 가족이 함께 즐길 수 있습니다.
서울드럼페스티벌 (5.10.~5.11.)
1999년부터 시작되어 올해로 27회를 맞이하는 대표적인 음악 축제입니다. 4월 26일에 드럼 경연대회가 열리고, 본 축제는 5월 10~11일 양일간 노들섬에서 개최됩니다. 다양한 타악기 공연과 장르 간 협연, 밴드 공연, 체험 프로그램 등이 어우러진 종합예술축제입니다.
서울국제정원박람회 (5.22.~10.20.)
작년에 780만 명이 방문한 이 인기 정원축제는 2025년 'SEOUL, GREEN SOUL'을 주제로 보라매공원 일대에서 열립니다. 특화정원 조성, 정원산업전, 다양한 정원문화프로그램을 통해 시민들에게 초록빛 휴식을 제공합니다.
그 외 봄 축제
- 서울러너스페스티벌 (4.26.): 야외에서 즐기는 달리기 축제
- 차 없는 잠수교 뚜벅뚜벅 축제 (5.4.~6.22.): 고품격 문화예술 공연과 함께 잠수교를 걸으며 즐기는 축제
여름: 뜨거운 열정으로 가득한 축제의 계절
서울시향 강변음악회 (6.13.~6.14.)
여의도 한강공원 멀티플라자에서 열리는 이 축제는 낭만적인 한강을 배경으로 서울시향의 오케스트라 연주를 통해 클래식과 오페라의 선율을 선사합니다.
서울썸머바이브 (6.13.~6.14.)
노들섬에서 열리는 이 축제는 음악, 댄스, 패션, 아트, 스포츠 등 다양한 '거리(스트리트)' 문화를 한데 모아 뜨거운 여름의 에너지를 발산합니다.

서울시오페라단의 야외오페라 (6.1.~6.2.)
올해로 3회를 맞이하는 이 무료 공연은 광화문광장에서 W.A.모차르트의 <마술피리>를 선보입니다. 누구나 무료로 참여할 수 있는 열린 문화 축제입니다.
세종문화회관 누구나 세종썸머페스티벌 (8.28~8.30.)
DJ 공연, 현대무용, 스트리트 댄스 등 예술성과 대중성, 축제성을 갖춘 다채로운 공연을 선보이는 이 축제는 여름밤 모든 시민이 함께 어울려 즐길 수 있는 흥겨운 축제입니다.
가을: 풍성한 수확의 축제 계절
서울세계불꽃축제 (9월 중)
매년 100만 명 이상의 관람객이 찾는 서울의 대표 축제로, 2025년에는 추석 연휴에 맞춰 개최될 예정입니다.
특히 2025년에는 사회적 약자를 위한 관람 공간이 확대될 예정입니다.
서울거리예술축제 (10.6.~10.8. 예정)
추석 연휴 기간에 도심에서 열리는 이 축제는 트렌드를 선도하는 '컨템포러리 야외 공연 예술축제'로서 장르를 대폭 확장하여 더욱 다채로운 볼거리를 제공합니다.
서울뮤직페스티벌 (11월 초)
최신 케이팝부터 인디 음악까지,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선보이는 이 축제는 남녀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구성됩니다. 노들섬에서 개최 예정이며, 상세 일정은 추후 공지될 예정입니다.
겨울: 빛으로 물드는 연말의 축제
서울윈터페스타 (12월 중순)
서울의 겨울을 매력적인 '겨울 축제의 도시'로 탈바꿈시킬 이 축제는 서울 도심 전체를 아우르는 '빛' 전시를 통해 겨울밤의 낭만을 선사합니다.
미술·전통문화 축제
서울조각페스티벌 (상반기: 5.23.~5.24., 하반기: 9.1.~9.7.)
서울 곳곳을 '지붕 없는 전시장'으로 만드는 이 미술 축제는 작년에 이어 올해는 상·하반기로 나누어 총 150여 점의 조각 작품을 선보일 예정입니다. 상반기에는 풍납동 백제문화공원에서, 하반기에는 서울아트위크와 연계하여 뚝섬한강공원 등에서 개최됩니다.
서울국악축제 (6.7.)
매년 6월 5일 '국악의 날' 주간과 연계하여 개최되는 대표 전통문화 축제로, 장르와 세대를 아우르는 국악 공연을 통해 국악의 현대적 감각을 선보입니다. 2025년에는 의정부지 역사유적광장에서 개최되며, 외국인 관광객들을 위한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도 마련됩니다.
서울무형문화축제 (9.27.~9.28.)
남산골한옥마을과 남산국악당 일대에서 열리는 이 축제는 28개 무형문화재 종목이 참여하여 공연, 시연, 시음 등 예술과 미식을 아우르는 풍성한 프로그램을 선보입니다.
정조대왕 능행차 공동재현 (9.28.)
서울시와 경기도, 수원시, 화성시가 공동으로 주최하는 이 전통 축제는 정조의 을묘년(1795년) 능행차를 재현합니다. 2025년에는 시민 참가자의 규모를 대폭 확대하여 '시민과 함께 하는 축제의 길'을 주제로 진행될 예정입니다.
2025년 서울 축제 일정표
봄 축제 (3월-5월)
서울러너스페스티벌 | 4월 26일 | 미정 | 야외에서 즐기는 달리기 축제 |
서울스프링페스타 | 4월 30일~5월 6일 | 월드컵경기장, 서울광장 등 서울 전역 | K-컬처의 다양한 매력, 음악과 빛 축제 |
서울서커스페스티벌 | 5월 3일~5월 5일 | 노들섬 | 국내외 서커스 공연, 전시, 영화, 퍼레이드 |
차 없는 잠수교 뚜벅뚜벅 축제 | 5월 4일~6월 22일 | 잠수교 | 고품격 문화예술 공연과 함께하는 도보 축제 |
서울드럼페스티벌 | 5월 10일~5월 11일 (경연대회: 4월 26일) | 노들섬 | 다양한 타악기 공연, 장르 협연, 밴드공연, 체험 프로그램 |
서울조각페스티벌(상반기) | 5월 23일~5월 24일 | 풍납동 백제문화공원 | 야외 조각 전시 |
서울국제정원박람회 | 5월 22일~10월 20일 | 보라매공원 일대 | 특화정원 조성, 정원산업전, 정원문화프로그램 |
여름 축제 (6월-8월)
서울시오페라단의 야외오페라 | 6월 1일~6월 2일 | 광화문광장 | W.A.모차르트의 <마술피리> 무료 공연 |
서울국악축제 | 6월 7일 | 의정부지 역사유적광장 | 장르와 세대를 아우르는 국악 공연 |
서울시향 강변음악회 | 6월 13일~6월 14일 | 여의도 한강공원 멀티플라자 | 클래식, 오페라 등 다양한 음악 |
서울썸머바이브 | 6월 13일~6월 14일 | 노들섬 | 음악, 댄스, 패션, 아트, 스포츠 등 거리문화 |
세종문화회관 누구나 세종썸머페스티벌 | 8월 28일~8월 30일 | 세종문화회관 | DJ, 현대무용, 스트리트 댄스 등 다채로운 공연 |
가을 축제 (9월-11월)
서울조각페스티벌(하반기) | 9월 1일~9월 7일 | 뚝섬한강공원 등 | 야외 조각 전시, 서울아트위크 연계 |
서울세계불꽃축제 | 9월 중 (추석 연휴) | 미정 | 화려한 불꽃 축제, 사회적 약자 관람 공간 확대 |
서울무형문화축제 | 9월 27일~9월 28일 | 남산골한옥마을, 남산국악당 | 28개 무형유산 종목 참여, 공연, 시연, 시음 |
정조대왕 능행차 공동재현 | 9월 28일 | 미정 | 정조의 을묘년 능행차 재현, 시민 참가 확대 |
서울거리예술축제 | 10월 6일~10월 8일 (예정) | 도심 | 컨템포러리 야외 공연 예술축제 |
서울뮤직페스티벌 | 11월 초 | 노들섬 | 최신 케이팝부터 인디 음악까지 다양한 장르 |
겨울 축제 (12월-2월)
서울윈터페스타 | 12월 중순 | 서울 도심 전역 | 도심 전체를 아우르는 '빛' 전시 |
장기 축제
서울국제정원박람회 | 5월 22일~10월 20일 | 보라매공원 일대 | 'SEOUL, GREEN SOUL' 주제의 정원 축제 |
차 없는 잠수교 뚜벅뚜벅 축제 | 5월 4일~6월 22일 | 잠수교 | 문화예술 공연과 함께하는 보행자 중심 축제 |
마치며
서울시 문화본부장 마채숙은 "시민들이 1년 내내 일상에서 특별한 즐거움을 느끼실 수 있도록 다양한 축제를 마련했다"며 "시민뿐만 아니라 서울을 찾는 관광객 모두가 사계절 내내 축제가 열리는 '글로벌 펀 시티(Fun City) 서울'의 새로운 매력을 만날 수 있도록 재미와 안전 모두 빈틈없이 준비하겠다"고 말했습니다.
2025년 서울에서는 사계절 내내 다채로운 축제가 여러분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미리 일정을 체크하고 문화예술의 향연을 즐겨보세요!